반응형

◈ 웹사이트 주소를 빠르게 입력하는 방법 ◈

웹사이트 주소 형식 중 가장 많은 것이 www.abc.com입니다. 웹서핑 중 매번 www와 com을 입력하는 것이 귀챦으시죠?이럴땐 주소창에 abc만 쓰시고 [Ctrl]+ [Enter]키를 동시에 눌러주면 www와 com이 자동으로 입력
됩니다.즉, www.dreamwiz.com의 경우 주소 창에 dreamwiz만 입력하고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Enter]키를 치면 곧바로 해당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한글97'에서 부분 부분을 한 번에 복사하여 붙이는 방법 ◈


'한글'에서 어떤 문서의 내용을 부분 부분 복사하여 붙이고자 할 때 매번 복사하고 붙이고를
반복하기가 불편하시죠?이럴땐 이렇게 해보세요. 한 번에 부분 부분을 모두 복사하여
한 번에 붙일 수 있습니다.


♣ 우선 복사할 문서의 복사할 내용 한 부분을 블록을 씌우고 [Ctrl + F]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 이런 식으로 복사할 부분 부분을 블록을 씌우고, 그 때마다[Ctrl + F] 키를 눌러줍니다.
♣ 이제 붙여넣고자 하는 문서로 이동하여 붙여넣기 즉,[Ctrl + V] 를 하시면 앞에서 부분 부분 복사해 놓은 내용이 한 번에 붙여넣기 됩니다.



한글 작업을 하면서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는 Tip입니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TV 수신카드 없이 보는 인터넷TV 보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과거에는 PC에서 TV를 보려면 TV 수신카드가 반드시 필요했지만 인터넷TV 서비스의 대중화로 인터넷만 있으면 웹사이트를 검색하듯 손쉽게 TV를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TV의 장점은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웬만한 가정에서 볼 수 있는 TV채널보다 많은 채널을 볼 수 있다는 것.
회원으로 가입하기만 하면 대부분 무료입니다. 업무중에도 화면 한 구석에 TV화면을 켜놓고 볼 수 있어 직장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인터넷 TV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


◐ 제트캐스터
〓KBS MBC ITV 등 지상파 방송채널과 지역방송, 케이블TV 시청은 물론 국내외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전용 TV브라우저를 설치해야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리얼TV
〓실제 TV와 비슷한 화면구성과 많은 방송채널이 장점.지상파 케이블 외국방송 라디오 방송을 모두 지원합니다. 케이블방송은 M넷, YTN 등 16개 방송을 볼 수 있으며, 뮤직비디오 감상, MP3파일 재생 기능도 제공합니다.

◐ 마이TV
〓여러 인터넷 방송국의 생방송 링크를 한자리에 정리해둔 사이트. 지상파 및 케이블TV 외에 인터넷방송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방송창을 여러개 열어놓고 동시에 시청할 수 있고 사용자가 등록돼 있지 않은 인터넷 방송채널을 직접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솔로문
〓국내외 인터넷방송 링크를 모은 개인 인터넷TV. 국내외 TV 생방송외에 영화 및 드라마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V-TV
〓국내방송뿐 아니라 전세계의 주요 방송을 볼 수 있으며 국내 방송의 경우 방송편성표도 볼 수 있습니다. TV시청용 브라우저는 인터넷 검색에도 쓸 수 있고 비회원들도 이용할 수 있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동영상을 보다 보면 끊기거나 멈춰서 짜증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이런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버퍼를 늘리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 문제를 해결 할 수도 있다.

1. 미디어 플레이어를 수행하고 [도구]→[옵션] 메뉴로 들어간다.
2. [옵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성능] 탭을 누른다.
3. [내 연결 속도] 옵션을 고르고 목록 버튼을 눌러 [T1(1.5Mbps)]을 선택한다.
4. [네트워크 버퍼링] 항목의 버퍼를 10초로 지정한다.
5. 다시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UDP] 항목의 체크 표시를 없앤다.
6. [프록시 설정] 항목에서 HTTP를 마우스로 두 번 클릭해 [프로토콜 구성]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프록시 서버 이용 안함] 옵션을 선택한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윈도우 XP에는 오류 보고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원래 기능은 오류의 원인을 사용자에게 최대한 알려주고 문제를 마이크로소프트에 통보하여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호환성을 높이는데 있지만 실제로 내가 보낸 오류가 호환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는지, 해결 방법은 있는지 아무런 통보도 받지 못한다. 오히려 매번 확인 창이 떠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고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나 않을까하는 걱정을 사는 기능이다. 윈도우 XP에는 이 귀찮은 방해자, 오류 보고 기능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 시작->설정->제어판을 선택하고 메뉴 가운데 '시스템'을 선택한다. 또는 윈도우 키+Pluse 키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 메뉴가 열린다.


▶ 고급 탭을 클릭한 다음 밑에 있는 '오류 보고' 버튼을 클릭한다.



▶ 오류 보고 기능의 기본값은 '오류 보고 사용'이며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모두 보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을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에 체크가 되도록 한다. 블루 스크린을 제외한 어떤 오류도 보고 싶지 않다면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면 알림' 항목의 체크를 추가로 꺼준다.



이렇게 하면 오류가 발생해도 오류 보고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는 어떤 오류가 생겼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된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키보드를 이용해서도 마우스 포인터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평상시 마우스와 동시에 쓸 수도 있지만, 마우스가 고장나서 작동하지 않을 때는 정말 유용하게 쓸 수 있겠죠? 윈도우의 마우스키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 마우스키 설정 방법 ★

평상시 마우스를 이용해 설정해 두면 쉽게 되지만, 미리 설정해두지 않고 마우스가 작동 불능 상태가 된 경우 키보드를 이용해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Tip]아래 각 항목의 이동요령은 방향키와 엔터로 창을 열고, 열려진 윈도우창 내에서 필요한 아이콘으로 이동하는 방법은 Tab키를 몇 번 눌러 어느 아이콘 이름에 점선이 생기면 방향키로 해당아이콘으로 이동하고 엔터를 하면 열립니다.

1. 키보드의 윈도우키를 눌러 [시작] -> [설정] -> [제어판] -> '내게 필요한 옵션' 열기
2. '내게 필요한 옵션' 창에서 Tab키를 몇 번 눌러 위의 '키보드'탶에 점선이 생기도록 한 후 오른쪽 방향키로 마우스탶으로 이동 -> 다시 Tab키를 눌러 '마우스키 사용'이라는 아래 체크옵션 글씨항목에 점선이 생기도록함 ->여기서 '스페이스바키'를 한 번 눌러 '마우스키 사용'옆 □에 ∨표시가 되도록 함 ->다시 Tab키를 눌러 '확인'으로 이동 후 엔터하여 설정

이렇게 하면 화면 오른쪽 하단 작업표시줄[트레이]부분에 마우스 모양이 생기고 지금부터 키보드
오른쪽 숫자패드를 눌러 마우스 포인터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포인터의 상하좌우 대각선 이동은 1,2,3,4,6,7,8,9키
클릭하려면 숫자키 5
더블클릭은 +키
드래그는 0키를 한 번 누른 후 숫자패드 방향키로 이동
(드래그를 끝내려면 Del키를 누름)


만약, 마우스키가 작동하지 않으면 키보드 오른쪽 위에 있는 NumLock키를 눌러 램프에 불이 들어온 상태에서 작동해 보세요.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웹상에 올려져 있는 파일 중 한글 이름으로 된 파일(예; 홍길동.zip)은
잘 불러와지지 않거나 다운로드가 되지 않고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는 수가
종종 있습니다.이럴 땐 다음과 같이 하면 불러와지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인터넷 통신 기술은 모뎀을 시작으로 ADSL을 거쳐 지금은 VDSL로까지 발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이 3가지 기술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VDSL(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가입자회선인 ADSL에 이어 등장한 초고속 디지털 전송기술의 하나로, 영어 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우리말로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회선"으로 부릅니다.

일반 가정에서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해 양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어 '광섬유의 가정화(FTTH:Fiber to the Home)'를 위한 최종 단계로 평가되는 기술입니다.

ADSL이 다운로드 속도에 비해 업로드 속도가 현저히 느린 비대칭 서비스라면, VDSL은 양방향 서비스 속도가 이론적으로는 거의 비슷한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1월 처음으로 개발되어 2002년에 상용화를 시작하였고, ADSL과는 달리 가입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하고,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공급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설치 공간도 덜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이 전송기술이 상용화되면 인터넷방송·주문형비디오(VOD:video on demand)·원격교육·고화질텔레비전 등 대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 양방향 전송도 가능하다.

가입자측(하향) 전송 속도는 13~52Mbps, 교환국측(상향) 전송 속도는 1.5~2.3Mbps, 전송 거리는 0.3~1.5㎞, 대역 폭은 ADSL에 비해 최소 2배에서 10배 정도가 요구됩니다.


▶ ADSL(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ADSL이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이란 뜻입니다.즉, ADSL의 데이터 전송 상향 속도(Upload)와 하향 속도(Download)가 다르기 때문에 붙은 명칭입니다.

ADSL은 음성과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 주파수의 대역폭이 서로 다른 점에 착안해 전화선을 이용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므로 별다른 공사가 필요없고, 모뎀에 비하여 최대 100배 가량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즐길 수 있습니다.현재 ADSL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장 대표주자는 한국통신과 하나로 통신입니다.
두 회사에서는 똑같은 ADSL이라도 각 서비스별로 속도가 다른데 평균적으로 이론상 Download속도는 1.5Mbps~8Mbps이며, Upload속도는 256Kbps~1.5Mbps.정도입니다. 그러나, 실질적인 속도는 이보다 낮은게 사실입니다.
ADSL을 이용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는 한국통신에서 <메가패스 ADSL>, 하나로 통신에서 <하나포스(HanaFOS) ADSL>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DSL은 하루에 1시간 이상씩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모뎀에 비해 통신료도 오히려 경제적이고, 월 정액제로 서비스되므로 하루에 몇 시간을 사용하든 사용요금은 똑같습니다.


▶ MODEM(모뎀)


모뎀(MODEM)
은 컴퓨터에서 나오는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이 인식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고, 전화선을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신호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입니다.

모뎀 역시 전화선을 이용하지만, 기본적으로 모뎀은 컴퓨터 내부에서 발생한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신호와 같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아날로그 데이터로 바꿔 전송합니다.
따라서, 모뎀은 음성 신호 이상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없습니다. 가장 성능이 좋은 표준 모뎀이 56Kbps속도밖에 지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면, ADSL은 전화선을 통해 디지털 데이터를 그대로 주고 받도록 하기 때문에,
초고속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답니다. 지금은 ADSL에 밀려 경쟁력을 거의 잃어가고 있습니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하이넷 레코더(Hi-Net Recorder)는 웹 상의 음악, 뮤직비디오, 방송, 영화, 동영상 등을 감상하는 동시에 녹화하여 하드디스크로 저장하는 프로그램으로 국내 소프트웨어 제작사 훈넷에서 만든 온라인 스트림 저장 프로그램입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다운받아 저장할 수 없으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동영상은 모두 녹화가 가능합니다.

하이넷 레코더(Hi-Net Recorder) 다운로드 - 모든 윈도우용(95/98/ME/XP)

▶ 설치시 주의 사항

위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압축을 풀고 실행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설치를 진행시킵니다.
설치시 다음 과정에서 체크를 해지하고 설치를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체크를 해주면 동영상 재생시 기본 연결프로그램이 하이넷레코더가 되어 아래에 선택된 확장자의 파일들을 재생하게 되고, 체크를 하지 않으면 하이넷레코더 설치 이전의 재생기로 계속 동영상들을 보실수 있습니다.
만약, 체크를 해지하지 않고 설치하셨다면 프로그램 실행 후 하단창에서 오른쪽 클릭 -> 설정 -> 'HI-Net Recorder로 재생할 파일 형식 선택'항목의 'Windows Media 파일'의 체크박스를 선택 해지하고 OK 하거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도구 -> 옵션 -> 형식 -> 모두 선택 클릭 -> 확인 하시면 됩니다.)

▶ 사용 방법

1.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2. 위 그림의 하단 창(흰 네모)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여 재생하여 녹화시킬 파일의 경로를 선택해 줍니다.


● 웹 상의 동영상을 녹화하려면?

[ 위의 하단 창에서 오른쪽 클릭 -> URL가져오기 클릭 -> 동영상 파일의 주소 입력
-> 열기 ]
웹 상의 동영상 파일 주소는 하이퍼링크된 부분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등록정보 -> 주소를 드래그하여 복사 -> 동영상의 주소창에 붙이기 하면 됩니다.

●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여 필요한 부분만 녹화하려면?

[위의 하단 창에서 오른쪽 클릭 -> 열기 클릭 -> 동영상 파일을 찾는 대화 상자에서 선택 -> 열기]
3. 파일을 열면 또 하나의 창이 뜨면서 동영상이 재생되는데 필요할 때 하단 창에 표시된 해당 동영상 파일 경로를 선택(클릭) 후 그림에서
RECORDERD의 빨간색 단추
를 눌러 녹화하고 끝내고 싶으면 녹화 버튼 바로 오른쪽의 정지(녹화취소) 버튼을 누릅니다.
4. <정지>버튼을 누르면 녹화된 동영상 파일 이름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기본적으로 C:\TEMP폴더에 저장됩니다. 파일이름을 바꾸려면 탐색기에서 해당파일을 선택하고 F2를 눌러 이름을 바꾸어주면 됩니다.
만일 저장할 폴더를 바꾸려면 녹화시작전에 하단 창에서 오른쪽 클릭 -> 설정 -> 저장할 디렉토리 -> 찾기에서 폴더를 지정해주면 됩니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자주가는 사이트를 저장한 즐겨찾기는 백업해놓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했다던가 아니면 내가 저장해놓은 즐겨찾기를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합니다.


▶ 즐겨찾기 백업하는 방법

① 인터넷 익스플로러 실행 -> [파일]메뉴에서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선택
② "가져오기 / 내보내기 마법사"가 실행되면 -> '다음'클릭
③ "선택대상 가져오기 / 내보내기"에서 "즐겨찾기 내보내기" 선택 -> '다음'클릭



⑤ "내보낼 즐겨찾기 대상"에서 "파일 또는 주소로 내보내기" 선택 후 <찾아보기> 클릭
⑥ "책갈피 파일 선택" 대화 상자가 백업 받을 드라이브 선택(예; 하드가 C와 D로 분할되었다면 운영체제가 깔리지 않은 D드라이브나 플로피디스크 선택)
⑦ 백업받아 놓을 폴더이름을 적당히(즐겨찾기 백업 등) 바꾸고, 파일이름(bookmark.htm)을 확인한 후 저장

백업 받아 놓은 즐겨찾기를 가져오려면 위 ①~⑦번 설명중 내보내기를 가져오기로 이해하여 설정하면 됩니다.


▶ 쿠키 파일을 백업하는 방법

쿠키(Cookie) 파일에는 웹사이트의 방문기록과 아이디 등 사용자 정보가 기록됩니다.

♣ 쿠키 파일이 저장된 폴더

C:\windows\cookie

쿠키 파일을 백업해 두었다가 복구하면 웹사이트 방문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백업 방법은 즐겨찾기 백업 방법과 같으며 ③번 항목에서 "쿠키 내보내기"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Posted by 시골아이
,
반응형


여러가지 공개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리웨어(Freeware)

무료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사용자는 사용만 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변경하지는 못합니다. 또한, 개인 사용자를 대사으로 하며 상업적 수단으로 배포되어서는 안됩니다.


◐쉐어웨어(Shareware)

대부분의 상품은 먼저 구입후 사용 하도록 되어있으나 소프트 웨어의 경우는 그러한 방식이 불합리 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정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 해 보고 계속 사용하기를 원하면 구입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계속 사용할 수있어도 기능의 제한이 있거나, 아니면 일정 기간(대부분 30일)이 지나면 사용이 중지되는 사용기간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애드웨어(Adware)

애드웨어는 프리웨어처럼 모든 기능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단, 다른 점이 있다면 프로그램의 특정 부분에 광고를 삽입하였으며, 실행시마다 자동으로 당사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광고의 목록 및 광고데이타를 다운로드한 후,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계속하여 광고를 표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를 시청하도록 합니다.


◐데모 버전(Demonstraion Version)

상업용 프로그램으로 출시하기 전에 미리 맛보기 판으로 선전하기 위해 무료로 배포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중요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 기간의 제한이 있거나 작업한 것이 저장이 안되는 것 등의 제한점이 있기도 합니다.


◐ 베타버전(Beta Version)

정식 프로그램을 판매하거나 공개하기 전에 테스를 목적으로 공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버그(오류)가 발생하거나 시스템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제작자는 어떠한 책임도지지 않으니 검증되지 않은 베타버전의 사용은 한번 고려해 보는게 좋겠죠...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이것은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저작권 문제도 없어 임의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 모든 공개용프로그램 중에서 조건이 가장 적은 프로그램입니다.


◐트라이얼 버전(Trial Version)

쉐어웨어와 비슷하며 역시 사용 기간의 제한이 있습니다. 대부분 1개월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시골아이
,